본문 바로가기

DB4

뷰(view) 뷰(View)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이유뷰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단순성, 보안, 독립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쿼리의 단순화 및 재사용 매우 복잡한 SELECT 문(여러 테이블을 JOIN하고, 특정 조건으로 필터링하며, 함수로 값을 계산하는 등)을 자주 사용해야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JOIN 사용 시: 이 복잡한 쿼리를 매번 다시 작성하거나 복사/붙여넣기 해야 합니다. 쿼리가 길어질수록 실수할 가능성이 커지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뷰 사용 시: 복잡한 쿼리를 한 번만 뷰로 만들어 저장해두면, 그 다음부터는 마치 하나의 테이블처럼 간단하게 SELECT * FROM my_complex_view; 와 같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쿼리가 매우 간결해지고 재사용성이 극대화됩니다.2. 보안 강화 🔒뷰는 .. 2025. 9. 25.
[SQL 튜닝] 함수는 죄가 없다. JOIN, 서브쿼리, 함수 제대로 알고 쓰기 "SQL에서 함수 사용은 성능 저하의 주범이니, 무조건 JOIN이나 서브쿼리로 바꿔라"개발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성능 튜닝의 격언입니다. 정말 그럴까요?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오늘은 함수가 왜 성능 문제를 일으키는지, 그리고 JOIN, 스칼라 서브쿼리와 비교하여 각각을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1. 문제의 시작: 함수는 왜 위험할까? 🤔가장 큰 이유는 함수가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의 똑똑한 판단을 방해하여 인덱스(Index)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데이터베이스를 거대한 도서관, 인덱스를 책의 '색인 카드'라고 비유해 봅시다. WHERE 절에 인덱스가 걸린 컬럼을 그대로 사용하면, 사서는 색인 카드를 보고 책을 바로 찾을 수 있습.. 2025. 8. 30.
그룹 차수 vs 전역 일련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다 보면 SEQ, NO, ID 같은 순번 컬럼을 흔하게 만나게 됩니다. 특히 데이터를 이관하거나(AS-IS → TO-BE) 테이블 설계를 리뷰할 때, 이 SEQ 컬럼의 정체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AS-IS에서는 환자별, 날짜별로 1, 2, 3... 순번이 매겨졌는데, TO-BE에서는 그냥 전체 데이터에 1부터 쭉 번호가 붙었어요. 이거 잘못된 거 아닌가요?"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두 SEQ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방식, '그룹 내 순번(Group Sequence)'과 '전역 일련번호(Global Sequence)'의 개념과 각각 언제, 왜 사용해야 하는지 명쾌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1. 두 종류의 SEQ: .. 2025. 8. 24.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전환 검증 전략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전략: 역공학적 접근과 체크리스트'역공학' 기반의 데이터 전환 검증 전략: 개발자는 단순히 검증자에 머무르지 않고, 숨겨진 규칙을 파헤치는 데이터 탐정이자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내는 품질 보증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안전한 데이터 이관을 위해선 AS-IS 데이터와 TO-BE 시스템을 역공학적으로 분석하여 문제가 될 부분을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조치해야 합니다. 목표 : 데이터 정합성 최우선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의 궁극적인 목표는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고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위의 단계별 접근법과 체크리스트를 따르면 이러한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습니다. 발견된 문제는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문서화하고, 이해관계자와 소통하여 정책적 결정 사항까지 끌어내세요. 철.. 2025.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