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XPLATFOR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들어 XPLATFORM 관련 정보를 찾으려 해도 인프런이나 유튜브 같은 교육 플랫폼에서는 자료가 거의 없고, 블로그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도 깊이 있는 내용을 찾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색과 커뮤니티 댓글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습니다.
- XPLATFORM을 사용하는 기업은 여전히 많다.
- 신규 프로젝트보다는 유지보수나 기능 개선 위주의 개발이 많다.
-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에서 주로 사용된다.
- 클라이언트(UI/UX)는 XPLATFORM, 서버 백엔드는 Java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XPLATFORM이란?
XPLATFORM은 웹 기반 UI/UX 개발 플랫폼으로, 기업용 시스템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 성능,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인 토스랩(구 투비소프트)에서 개발하였으며, 정부 및 대기업의 업무 시스템 구축에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 정식 명칭: XPLATFORM
- 개발사: TOBESOFT
- 관련 제품군: Nexacro, MiPlatform
XPLATFORM은 왜 만들어졌을까?
XPLATFORM은 기존 HTML 기반 웹 UI의 한계를 극복하고, 데스크톱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웹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과거 2000년대 초중반, 공공기관과 금융권은 C/S(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웹 기반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단순 HTML로는 만족할 수 없는 UI/UX가 요구되었고, 이에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기술이 대안으로 떠올랐습니다.
XPLATFORM은 이런 RIA 기반 UI 솔루션 중 하나로 등장하여, 웹브라우저 상에서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처럼 빠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XPLATFORM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개념: RIA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느린 반응속도나 제한적인 UI 표현 등 기존 웹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입니다.
RIA의 대표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비동기 통신 지원
- 풍부한 UI 구성요소 (그리드, 캘린더, 탭 등)
- 데스크톱 수준의 반응성과 사용자 경험
- 플러그인 기반의 실행환경 (예: Flash, Silverlight, XPLATFORM Runtime 등)
XPLATFORM의 주요 특징
- 고생산성: UI 컴포넌트 기반의 드래그 앤 드롭 방식 개발
- 강력한 UI 구성 요소: 복잡한 그리드, 다이내믹 화면 구성 가능
- 서버 연동의 용이성: Java, .NET, C 등 다양한 백엔드 언어와의 연동이 쉬움
- 통합 개발 환경(IDE) 제공: WYSIWYG 방식의 UI 편집기
- 보안 기능: 공공기관 요건에 부합하는 전자정부 보안 정책 대응
- 크로스 브라우징 문제를 회피: 자체 런타임 기반으로 브라우저 종속성 문제 해결
사용 사례 및 도입 기관
XPLATFORM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공공기관: 국세청, 교육부, 행정안전부 등 주요 정부기관의 전자정부 시스템
- 금융권: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인터넷 뱅킹 및 업무 포털 시스템
- 대기업: 삼성, 현대, SK 등 대기업 그룹사의 ERP 및 전사 포털
- 지자체 및 교육기관: 시청, 구청 등의 민원처리 시스템, 대학 학사관리 시스템
마무리
XPLATFORM은 요즘 기준으로 보면 다소 낡은 기술로 보일 수도 있지만, 수많은 공공기관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입니다. 신규 개발보다는 유지보수,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는 SI/SM 개발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개발자에게 유용할 수 있습니다.
'X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LATFORM 설치 방법 (1) | 2021.08.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