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기초부터 실무까지

A4 절반에 당신의 성과를 담아내는 법

by 개발 이야기 2025. 8. 17.

1) 작성 원칙 (2~4줄)

  1. 제목 규칙: [시스템/모듈] 행동 + 대상 + 상태
    예) [홈페이지/검색] 날짜조회 오류 수정 완료
  2. 불릿 순서(권장): 증상/범위 → 원인/진단 → 조치/결과 → 후속/리스크(옵션)
    2줄이면 “증상/범위”와 “조치/결과”만, 3줄이면 “원인”까지, 4줄이면 “후속”까지.
  3. 압축 표기법: 원인:, 조치:, 결과:, 후속: 접두어 + →(원인→결과), /(조건/환경), ()(범위·세부), [](태그), Ver/ETA/시간
    예) 배포(08-17 14:30), ETA 08-20, Ver 1.4.2
  4. 수치·근거 최소 1개: 발생건수/대상/로그ID/버전/시간 등 하나는 반드시(신뢰성↑).
    예) 오류 5건, 독일 국적, 로그ID #21345
  5. 의존/요청 명시: 외부업체·타부서 필요 시 의존:/요청:으로 분리.
    예) 요청: A사 API 스키마 수정 협의(08-19 회신 대기)

2) 바로 쓰는 템플릿

2줄형 (증상 → 조치/결과)

  • 증상/범위: (누가/언제/어디서) 무슨 문제
  • 조치/결과: 무엇을 바꿨고 지금 상태/근거

예)

  • 증상/범위: 독일 국적 사용자의 날짜 조회 시 500 오류(로그 #21345)
  • 조치/결과: 국가코드 처리 로직 수정·배포(08-17 14:30) → 재현 불가/정상

3줄형 (증상 → 원인 → 조치/결과)

  • 증상/범위: …
  • 원인: …
  • 조치/결과: …

예)

  • 증상/범위: 독일 국적 사용자의 날짜조회 500 오류(5건)
  • 원인: 국가코드 ‘DE’ 처리 분기 누락
  • 조치/결과: 분기 추가·배포(Ver 1.4.2) → 정상 확인

4줄형 (증상 → 원인 → 조치 → 후속/리스크)

  • 증상/범위: …
  • 원인: …
  • 조치: …
  • 후속/리스크: …

예)

  • 증상/범위: 독일 국적 사용자 날짜조회 500(로그 #21345)
  • 원인: 국가코드 매핑 테이블 누락
  • 조치: 매핑 보완+Null가드 추가, 배포(08-17)
  • 후속: 유사 국가(AT/CH) 회귀검증 08-20 예정

3) 예시 문장 변환 샘플

A안(2줄형)

  • 증상/범위: 날짜 조회 시 일부 사용자 500 오류(독일 국적)
  • 조치/결과: 국가코드 분기 보완 후 배포(08-17) → 정상

B안(3줄형)

  • 증상/범위: 독일 국적 사용자의 날짜조회 오류(5건)
  • 원인: 국가코드 ‘DE’ 처리 분기 누락
  • 조치/결과: 로직 보완·배포(Ver 1.4.2) → 재현 불가

C안(4줄형)

  • 증상/범위: 독일 국적 사용자 조회 오류(로그 #21345)
  • 원인: 국가코드 매핑 누락
  • 조치: 분기 추가·테스트·배포(08-17 14:30)
  • 후속: 다국적 처리 케이스 회귀(08-20), 매핑 테이블 정합성 점검

4) 대표 시나리오별 예시(2~4줄)

(1) 버그 수정

  • 증상/범위: 입원환자 리스트 새로고침 시 간헐 502(야간/모바일)
  • 원인: 캐시 만료 동기화 실패
  • 조치/결과: 캐시 TTL 조정+락 추가, 배포(08-16) → 재현 없음

(2) 데이터 정정/취소 요청

  • 증상/범위: OO과 요청, 오기재 처방 3건 취소 및 재기록 필요
  • 원인: 인터페이스 지연 중복전송
  • 조치/결과: 중복건 롤백+재전송, 담당자 확인 서명 수취(08-15)

(3) 외부업체 수정 요청 송부

  • 이슈: 영상 PACS 연동 시 환자ID 패딩 규칙 불일치
  • 영향: 신규촬영 12건 미연계
  • 요청/상태: A사에 패딩 규칙 통일 요청(08-17 송부) / 08-19 회신 대기

(4) 신규 요구 반영(사양 협의)

  • 배경: 외래 접수 화면에 보험유형 필터 추가 요청
  • 조치: UX 시안 공유·API 스펙 작성(버전안 v0.2)
  • 후속: 08-22 공동리뷰, 08-29 개발착수(협의 중)

(5) 성능 개선

  • 현황: 처방조회 95p 응답 1.8s → 1.1s(테이블 인덱스+쿼리튜닝)
  • 결과: 피크타임 타임아웃 0건(전주 7건)
  • 후속: 야간배치 영향 모니터링(08-18~20)

(6) 장애 대응

  • 증상/범위: 원무수납 결제 API 타임아웃(09:12~09:19)
  • 원인: 외부 PG사 지연
  • 조치/결과: 재시도 큐 임시확대, 정상화 09:19 / 재발방지: 타임아웃 단계적 백오프 적용

(7) 예방·점검(컴플라이언스/회귀)

  • 작업: EMR 감사로그 정책 점검(분기)
  • 결과: 민감행위 추적필드 정상, 경미 권한경고 1건 시정
  • 후속: 권한 매트릭스 문서 최신화(08-21)

5) 문장 패턴 도감 (그대로 복붙해서 변형)

  • 증상/범위: {대상/조건}에서 {증상} (건수/로그/시간)
    • 예) 독일 국적 사용자 날짜조회 500(5건, #21345)
  • 원인/진단: 원인: {근본원인/결함지점} / 진단: {관측근거}
    • 예) 원인: 국가코드 분기 누락
  • 조치: 조치: {무엇을 어떻게} + {배포/시간/버전}
    • 예) 조치: 분기 추가·테스트·배포(08-17, Ver 1.4.2)
  • 결과: 결과: {현재상태/검증근거}
    • 예) 결과: 재현 불가, 모니터링 24h 무이상
  • 후속/리스크: 후속: {다음액션/기한} / 리스크: {주의점}
    • 예) 후속: 유사국가 회귀검증 08-20

6) 짧게 쓰기 위한 치환 사전

  • “확인 결과/조사 결과” → 원인: / 진단:
  • “수정/개선하여 배포 완료하였습니다” → 조치: ~, 배포(날짜/버전)
  • “정상 동작 확인했습니다” → 결과: 정상 / 재현 불가
  • “추가로 확인 예정입니다” → 후속: ~ 예정(날짜)
  • “협조 요청드립니다” → 요청: ~ (회신 대기/기한)

7) 제출 전 30초 체크리스트

  • 제목만 보고 업무 대상·행동·상태가 보이는가?
  • 불릿에 원인/조치/결과 중 최소 2개가 있는가?
  • 수치·근거(건수/버전/시간/로그)가 1개 이상 들어갔는가?
  • 의존/요청이 있으면 명시했는가?
  • 모호어(빠르게/적절히/대부분 등) 대신 정량/사실 표현을 썼는가?

8) 말할 때도 같은 포맷으로

전화 설명도 동일합니다.
증상 한 줄 → 원인 한 줄 → 조치/결과 한 줄 → 후속 한 줄(옵션)
예) “독일 국적 사용자의 날짜조회에서 500이 5건 났고(증상), 국가코드 분기 누락이 원인이어서(원인), 분기 추가해 오늘 14:30 배포했고 정상 확인했습니다(조치/결과). 비슷한 국가 케이스는 20일에 회귀검증하겠습니다(후속).”


G:

비유를 통한 접근: 의사의 진료 차트처럼 작성하기

병원 관리자는 의사들이 작성하는 차트(SOAP 형식: 주관적 정보, 객관적 정보, 평가, 계획)에 익숙할 겁니다. 이처럼 보고서도 '문제(S,O) -> 조치(P) -> 결과(A)' 가 명확하고 간결하게 드러나도록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관리자는 "그래서 문제가 뭐였고, 어떻게 해결했으며, 결과적으로 무엇이 좋아졌는가?"를 가장 궁금해하니까요.


기존 보고 내용 분석 및 수정 제안

먼저 보내주신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기존 보고]

[홈페이지] 검색창 화면 오류 수정

  • 사용자가 날짜를 통해 조회할 경우 일부 사용자에게서 에러 발생
  • 확인 결과 국적이 독일인 사람이 조회할 경우 문제로 로직 수정

이 보고는 사실관계는 잘 전달되지만, 관리자 입장에서 '이 문제가 얼마나 중요했고, 해결을 통해 어떤 가치를 만들었는지' 가 명확하게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 세 가지 수정안을 제안합니다. 상황과 강조하고 싶은 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수정 제안 1: 핵심 개선안 (가장 추천)

이 방식은 문제의 영향조치의 결과를 명확하게 보여주어 업무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홈페이지] 특정 국적 사용자 조회 기능 안정화

  • 문제: 독일 등 특정 국적 사용자가 날짜로 진료기록/예약 조회 시도 시 시스템 오류 발생
  • 조치: 국가별 날짜 형식 차이를 고려하여 조회 로직 개선,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상화

 왜 더 좋은가요?

  • 제목: 단순 '수정'이 아닌 '안정화'라는 표현으로 업무의 결과와 긍정적 효과를 먼저 보여줍니다.
  • 문제점 구체화: '일부 사용자'를 '독일 등 특정 국적 사용자'로, '에러 발생'을 '진료기록/예약 조회 시도 시 시스템 오류'로 구체화하여 문제의 심각성(환자 정보 접근 불가)을 명확히 했습니다.
  • 결과 명시: '로직 수정'에서 그치지 않고, 그 결과인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상화'까지 명시하여 업무의 완료와 긍정적 결과를 확실히 전달합니다.

핵심 작성 요령 정리

어떤 안을 선택하시든, 다음 3가지만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1. 제목에서부터 긍정적 결과를 암시하세요: '오류 수정' 보다는 '기능 개선', '안정화', '문제 해결'.
  2. 문제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쓰세요: '에러 발생' 보다는 '로그인 불가', '조회 실패', '예약 누락' 등 관리자가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하세요.
  3. 조치의 결과를 명확히 마무리하세요: '로직 수정' 보다는 '기능 정상화', '서비스 안정화', '전체 사용자 이용 가능' 처럼 그래서 무엇이 좋아졌는지를 항상 덧붙여주세요.

이렇게 보고하면 관리자는 짧은 보고만으로도 "아, 이런 심각한 문제가 있었는데 해결해서 다행이군. 일 잘 처리했네."라고 생각하게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