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I, 가상머신, 가상망을 제대로 알아야 보이는 성능 차이의 원인
🧐 시작은 이렇게: “PC는 새건데, 프로그램은 왜 이래?”
개발자 A는 집에서 최신 윈도우 11 PC로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쌩쌩 잘 돌아갔습니다. 하지만 같은 프로그램을 회사에서 실행해보면 터미널을 열 때도, 마우스 클릭도 버벅댑니다.
팀원이 말합니다:
“그건 가상머신 때문이야.”
하지만 단순히 "느리다"는 설명만으로는 부족하죠. 왜 느린지, 정확히 어디서 느려지는지, 그리고 내가 뭘 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 가상환경 구성요소: VDI, 가상머신, 가상망의 차이점
🖥️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물리 PC 대신 가상 데스크톱을 서버에 만들어 놓고 원격으로 접속하는 구조
- 우리가 일반적으로 "원격 접속해서 사용하는 환경"은 대부분 이 VDI 구조입니다.
- 한 대의 고성능 서버에서 여러 명의 유저가 각자 자기만의 가상 데스크탑에 로그인하는 셈이죠.
🧱 가상머신 (Virtual Machine):
소프트웨어적으로 만들어진 ‘가짜 컴퓨터’
- VDI에서 사용자가 접속하는 대상은 곧 가상머신입니다.
- 각각 독립된 OS, 가상 CPU, 가상 메모리, 저장 공간을 가지며, 실제 PC처럼 작동합니다.
- 하지만 하드웨어는 공유합니다.
🌐 가상망 (Virtual Network):
가상머신들끼리 통신하거나 외부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 물리적인 랜선 없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설정된 네트워크
- VDI 사용자 간 통신, 서버 ↔ 클라이언트 간 통신이 모두 여기에 의존합니다.
🐌 그럼, 왜 이렇게 느릴까?
1. 할당 자원이 적다
“작은 방에서 대가족이 살아가는 느낌”
- 회사의 가상머신은 서버 자원을 수십 명이 나눠 씁니다.
- 각자에게 할당된 CPU, RAM, 디스크 용량은 로컬 PC보다 훨씬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 특히 RAM이나 I/O가 많은 개발 툴(Eclipse, Visual Studio 등)은 이런 환경에서 극단적으로 느려집니다.
회사는 거대한 서버 한 대의 자원(예: 64코어 CPU, 512GB 램)을 잘게 쪼개서 수십, 수백 명의 직원에게 나눠줍니다. 내 가상머신이 받은 자원은 고작 2~4 코어 CPU에 8GB 램 정도일 수 있습니다. 최신 로컬 PC보다도 훨씬 적은 양이죠. 애초에 배정받은 성능 자체가 낮기 때문에 EMR처럼 무거운 프로그램을 돌리면 버벅일 수밖에 없습니다.
2. 공유 자원 경쟁
“옆방에서 전자레인지 돌리면 내 방 전기 나가는 느낌”
- 동일 서버 내 다른 사용자가 무거운 작업을 하면 전체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 CPU 스로틀링, I/O 병목이 발생해 내 가상머신도 느려지는 것.
3. 네트워크 지연 (Latency)
“내가 누른 클릭은 서울 본사까지 갔다가 다시 돌아온다”
-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 화면은 다시 압축되어 내 PC로 돌아옵니다.
-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왕복 시간(지연)**이 쌓이면, 눈에 띄는 딜레이로 체감됩니다.
가상머신은 내 책상 위가 아닌, 회사 전산실의 서버 안에서 돌아갑니다. 내가 마우스를 클릭하고 키보드를 누르는 모든 신호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산실까지 갔다가, 처리된 화면이 다시 내 모니터로 돌아와야 합니다. 이 미세한 왕복 시간(지연 시간)이 쌓여서 로컬 PC의 즉각적인 반응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는 답답함을 만듭니다. '가상망이 느리다'는 것은 이 통로가 좁거나 막히는 것을 의미하며, 느린 경험을 더욱 가중시킵니다.
🧠 실제 비유로 이해하기
| 공간 비유 | 단독주택 (자유롭게 자원 사용) | 아파트 (자원 공유, 제한 있음) |
| 리소스 사용 | 내가 원하는 만큼 |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 |
| 네트워크 | 집안 내부 연결 | 외부와 연결 필요 (지연 있음) |
| 성능 병목 | 거의 없음 | 자원 경쟁, 네트워크 병목 발생 가능 |
✅ 요약: 성능이 느린 진짜 이유
- 가상머신은 **애초에 주어진 자원(CPU/RAM 등)**이 작습니다.
- 자원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때문에 예측 불가능한 속도 저하가 발생합니다.
- 네트워크 지연은 체감 성능을 더 악화시킵니다.
- 즉, 느린 이유는 내 PC가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입니다.
'IT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트라넷: 사설 IP부터 방화벽까지 (1) | 2025.09.27 |
|---|